올해(2022년) 겨울 인턴을 백엔드 부문을 지원했는데 인턴 면접 방식을 Discord chatbot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시연하는 것이였다. 챗봇의 슬래시 커맨드를 구현하는 프로젝트이다. /XXX YYY 를 디스코드 입력창에 입력하면 챗봇이 명령에 맞게 처리해주는 챗봇을 구현하는 프로젝트였다. 챗봇이 얼마나 재미있는지, AI관련한 기능이 들어가 있는지를 중점을 두고 심사하는 과제였다. 그래서 재미를 골라 주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일종의 스포일러 봇으로 이 영화, 게임, 드라마에서 이 캐릭터가 죽는지 알려주는 나쁜 봇을 만들기로 하였다. 심사하는 분들이 이런 장난스러운 기획에 웃었으면 하면서 만들었다. 일단 데이터는 Fandom 이라는 위키에서 한 페이지를 크로링하여 파이썬 딕셔너리 코드를 출력하는 코드..
교내 현장학습으로 인턴 생활을 했었다. 이전부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관심 있어서 관련 회사 찾았다. 찾은 회사는 자동차에 들어가는 전장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였다. 그중 가상화 부분에서 유명한 회사였다. 그곳에서 target 시스템 환경을 구축하는 업무를 받았고, 운영체제나 ARM, 보안기능에 대해 배웠다. 당시 수강하지 않았던 과목인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에 대한 가벼운 사내 교육을 통해 배웠다. 업무는 팀 내에서 인턴들을 관리하시던 분이 추천하신 BuildRoot라는 툴을 사용하였다. Target system의 하드웨어 사양과 업무를 내려주신 분이 설정하신 사양에 맞게 설정하였다. 설정한 사양은 GUI 앱이 구동 가능한 리눅스 rootfs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었다. BuildRoot는 a..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lgPD/btrPJW09NE7/IkM68W6atnd19TVHEwGTfk/img.png)
시험기간이 겹쳐 여러가지로 작성이 늦어졌다. 다국어화, 리스트뷰, 데모자료, glade를 집중적으로 보았다. 다국어화는 보다 많은 교내학생들이 사용하기 위해 자료를 찾아보았다. 일본어, 중국어(간체자, 정체자) (CJK)등의 언어는 번역이 할 수 없으나 기본적인 뼈대를 제공하여 누구든지 번역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FOSS에서는 gettext라는 툴을 이용하여 다국어를 지원한다. 영어를 문장을 키로 번역, 현지화된 글을 치환해 준다. 치환기준은 실행시 로케일이다. 이전 작성한 코드 수정 pk_client_set_locale(client, g_get_language_names()[0]); setlocale(LC_ALL, g_get_language_names()[0]); 을 차라리 아래와 같이 하여 저런..